다른 곳에서는 절대로 발견할 수 없는 유일한 특징
각
나라에서의
평가
“내가
CUHK를
선택한 이유는 이 학교의 중국어 프로그램이 유명하기 때문이다.
선생님들도 열성적으로 친절하게 잘 가르쳐주고 강의도 체계적이고 효과적이었다.
1년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홍콩에서 보내게 된 귀중한 시간 동안 많은 경험을 한 것 같다”
권정혜,
한국,
2004-05
재학
CLC
was recommended to me by my PhD supervisor who himself is a CLC
graduate. He said, “you’ll have to study hard but don’t worry - the
staff are amazing”. True words! I especially like the fact that I now
have friendships with fellow students (Korean, American and Japanese)
and that our sole language of communication is Mandarin.
“CLC는
이
곳의
졸업생이기도
한
나의
담당교수가
추천한
곳이다.
그가
말하길,
분명
열심히
공부해야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였다.
탁월한
교사진이
있으니까.
그리고
그것은
사실이었다!
특히
좋았던
점은
많은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온
친구들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유일한
의사소통
수단은
표준중국어였다.”
Jacqueline Elfick,
네덜란드,
2003~04
재학
“CLC의
질적
수준은
정말
훌륭합니다.
모교의
중국어
수업과
비교했을
때
하늘과
땅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의
프로그램은
매우
탁월하며,
선생님들의
설명
또한
알기
쉽고
재미있기
때문에,
진심으로
추천하고픈
학교입니다.”
中野恵理子,
일본,
2004-05 재학
“The
Center will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motion of
better understanding between the people of the East and the West.”
“이
언어원의 동서양 상호이해를 촉진하는 중요한 가교역할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Sir Jack Cater,
전 홍콩정부 총독대리 및 비서장
1980년
CLC개회식 연설 중
홍콩중문대학교
부설 언어교육원 (The
Chinese Language Center "CLC")
홍콩중문대학교
부설 언어교육원은 신 아시아
서원 (톝㉷??, New Asia College)과 중국 예일 협회(ㄴ곌땠짠⑬?, Yale-in-China Association)의 후원으로 1963년에
설립되었고, 1974년 홍콩중문대학에
흡수되면서 홍콩중문대학
내 부속기관이 되었습니다. 본 중국어언어원은
매년 1000여명의
학생들을 세계 각국에서
선발하여 표준 중국어(북경어/뉜쿿멎/Putonghua)와 광둥어(펣찯퍈, Cantonese)를 지도하고 있습니다. 이곳
학생들의 수준은 처음
중국어를 시작하는
초급자부터 중국방언을
연구하거나 말하기
수준을 더욱 높이려는
한학자들까지 다양합니다. 학생구성 또한 다양하여
외교관, 공무원, 회사원, 선교사, 변호사, 의사
등의 직장인들을 비롯하여
주부, 은퇴한 직장인, 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의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곳
졸업생들은 현재 각자의
분야에서 모두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절대 발견할 수 없는
12가지
특징
1.
꾸준히
지속해
온
중국어와
영어
병행학습과
다원화된
문화교육
-
홍콩중문대학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어와
영어
두
언어의
실제적
연습과
다원화문화교육을
통해
동서양의
장점을
체득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대학
중
하나입니다
2. 세계
톱클래스의
명문대학교
-
홍콩중문대학교는
타임지가
선정한 2006년
세계50대
우수대학
중
하나입니다.
3. 대학강의
수준의
실력을
갖춘
교사진
-
중국어언어원
교사진은
모두
해당
언어에
대해
대학강의
수준의
자질을
소유하고
있으며,
중문대학교
및
대학원
학생들의
언어교육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4. 중문대학교
캠퍼스
내
교실
또는
도심지
교실
선택
가능
-
대다수
전일제
과정은
사틴(沙田,
Shatin)의
면적134헥타르에
이르는
매우
아름다운
중문대학교
캠퍼스에서
진행되며,
시간제
과정은
도심지에
위치한
교실(코즈웨이베이(銅鑼灣,
Causewaybay)
및
침사츄이(尖沙嘴,
Tsim Sha Tsui))에서
수업이
있습니다.
5. 전세계
72개국
출신의
다양한
배경을
소유한
학생들
-
본
언어원은
이미
72개국
3만여명의
학생들을
배출하였습니다.
완벽한
초보자에서부터
가정주부,
고등학생,
은퇴자,
중국
및
기타분야의
전문가에
이르는
광범위한
배경과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본
언어원의
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6. 최초로
표준중국어/광동어
학력증명서를
제공하는
대학부설
기관
-
CLC는
홍콩에서
최초로
공인된
중국어(표준중국어
및
광동어)
학력증명서(이수증
(證書,
Certificate),
학위증
(文憑,
Diploma)
및
고급학위증 (高等文憑,
Advanced Diploma))를
발행한
홍콩
유일의
대학부설
비
중국어
원어민대상
중국어
교육기관입니다.
7. 전일제
또는
시간제
과정
선택
가능
-
CLC의
학력증명서
수여
전일제
과정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어학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프로그램으로,
매년
1, 5, 9월에
개강하여
최소
한
학기(3달)에서
최대 6학기(2년)까지
진행됩니다.
그밖에
계절
집중과정은
여름
및
겨울 2-6주간
전일제
수업으로
진행됩니다.
수업은
보통
일주일에
5일,
매일 3-6시간
씩
입니다.
-
CLC시간제
과정은
홍콩에서
거주하는
직장인들의
요구에
맞춘
프로그램으로,
보통1,
4, 7, 10월에
과정이
진행되며,
수업은
일주일에
한두
번,
매회
두세시간
씩
입니다.
8. 회화연습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
교육
-
CLC는
각기
다른
배경의
학생들에
맞춘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방법과
이수과정
및
학습자료를
통해,
중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의
가장
근본적인
목표
달성
즉
유창한
회화능력
성취를
가능케
합니다.
-
일반
전일제
과정의
또
다른
특징은,
여러
교사들이
교대로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각각의
다른
어투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9. 소수
정원제
-
홍콩
대다수
언어교육기관의
수업은
한
반에 20-30명에
이릅니다.
반면
CLC의
학력증명서
수여
전일제과정은,
기초에서
중급
수준까지는
10-20명,
고급반은 7-9명을
정원으로
합니다.
시간제과정의
경우
7명
또는
그
이상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10. 과정에
맞추어
특성화된
시간표
-
일상적인
시간표
외에,
한국
및
일본
학생들의
유익한
방학생활
및
홍콩에
거주하는
직장인(중국어원어민
또는
비
중국어원어민
모두
포함)의
요구에
맞춘
탄력적인
시간표
-
아침반,
저녁반,
여름학교
및
일반학기
과정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11. 인증된
학습교재
-
대부분의
학습자료는
본
언어원
교사진들에
의해
저작된
것으로
홍콩의
많은
기관과
개인
또한
선호하는
것들입니다.
그
중
사전,
교과서
또는
시험
및
단기과정을
위한
교재
등은
시중에서도
구매
가능합니다.
12. 언어능력을
촉진시키는
다양한
활동
및
학생지원
프로그램
-
전일제 및
시간제과정 학생들은,
수업시간 이외에 본 언어원이 제공하는 어학능력 촉진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u
봄:
뷔페
형식의
춘계연회
u
여름:
중국
현지
문화탐방
및
언어문화
실습과정(PRINCH)
u
가을:
야외수업
유학생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또는
세미나
형식의
학생지원
프로그램도
열립니다.
홍콩에서의
생활,
교육제도,
구직,
중국여행
상식,
졸업생들을
위한
상담,
훈련생
모집
등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중국어와
영어
이외에
일본어와
한국어
통역원
또한
제공됩니다.
주요사건
및1963년
이후의
CLC학교장
주요사건
1961 |
Jennie Mak Ling(林麥賢慧)여사에
의해 홍콩에서 외국인 광동어 교육을 위한 사립어학교로서
CLC가
설립됨. |
1963 |
New Asia College(新亞書院)과
Yale-China Association(雅禮協會)로부터의
대대적 지원을 받게 됨.
학교의
정식명칭이New
Asia—Yale-in-China Chinese Language Center(新雅中國語文研習所)으로
결정.
당시Kowloon
Tong(九龍塘)의
Farm Road(農圃道)에
위치했던New
Asia College(新亞書院)로
교사 이사. |
1963 |
Parker Po-fei Huang(黃伯飛)교수에
의해 표준중국어 부문 설립. |
1974 |
7월1일,
홍콩중문대학교에 소속됨. |
1978 |
9월28일,
Fong Shu Fook Tong(方樹福堂)재단의
대대적 지원 하에Fong
Shu Chuen(方樹泉)
건물
공사 착수.
같은
해,
표준중국어 과정이 중문대학교 대학생 과정으로 확장됨. |
1980 |
1월
24일,
Fong Shu Chuen(方樹泉)
건물
정식 개관.
높은
수준의 중국어 프로그램을 위한
CLC의
기반이 됨. |
1990 |
다목적
강당으로서의Fong
Yun Wah Hall(方潤華堂)
개관 |
2003 |
CLC 40주년 |
2004 |
광동어
과정이 중문대학교 중국본토 학생 대상으로 확장됨. |
1963년
이후의 CLC학교장
1963 |
Parker Po-fei Huang(黃伯飛)교수,
미국
예일대학교 동아시아 언어원(Institute
of Far Eastern Language of Yale University)
출신. |
1964-1967 |
1961년
CLC설립자이기도
한Jennie
Mak Ling(林麥賢慧)여사 |
1967-1968 |
Francis S. Hutchins(何欽思)박사,
홍콩Yale-in-China
Association(雅禮協會)
대표
|
1968-1989 |
Liu Ming(劉銘)씨,
21년
간 중문대학교와 더불어
CLC의
발전에 힘써옴. |
1989-1991 |
학교장
대행
Ho Cheuk-sang(何焯生)씨 |
1991-2001 |
1991-2001 John C. Jamieson(簡慕善)교수,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 출신,
자신의
은퇴까지 학교장 연임. |
2001-현재 |
Weiping Wu(吳偉平)박사,
미국
워싱턴의 응용언어학센터 언어학자 |
학생들의국적
72개국의 30000명의 학생이 홍콩중문대학 언어원에서 중국어를 배웠습니다.
알파벳순서로
1.
아르헨티나
2.
오스트레일리아
3.
오스트리아
4.
방라젯슈
5.
바하마
6.
벨기에
7.
브라질
8.
불가리아
9.
브루나이
10.
캄보디아
11.
캐나다
12.
코카사스
13.
칠레
14.
중국
15.
콜롬비아
16.
콩고
17.
코스타리카
18.
크로아티아
19.
덴마크
20.
에치오피아
21.
유라시아
22.
핀란드
23.
프랑스 |
24.
독일
25.
그리스
26.
과테말라
27.
혼두라스
28.
헝가리
29.
홍콩
30.
인도
31.
인도네시아
32.
이란
33.
아일랜드
34.
이스라엘
35.
이탈리아
36.
일본
37.
케냐
38.
한국
39.
마라가시 공화국
40.
말라위
41.
말레이지아
42.
모리셔스
43.
멕시코
44.
네델란드
45.
뉴질랜드
46.
나이지리아
47.
노르웨이 |
48.
파나마
49.
파키스탄
50.
파라과이
51.
페루
52.
필리핀
53.
폴란드
54.
포르투갈
55.
러시아
56.
싱가폴
57.
스로바키아
58.
슬로베니아
59.
남아프리카
60.
스페인
61.
스웨덴
62.
스위스
63.
대만
64.
탄자니아
65.
타이
66.
터키
67.
영국
68.
우간다
69.
우루과이
70.
미국.
71.
베네주엘라
72.
베트남 |
배출한
졸업생
중국어언어원이 배출한 졸업생
(알파벳
순)
이면관(李勉官) |
전 홍콩
한인상공회의장 |
류재우(柳在禹) |
전 홍콩
한인상공회의장 |
김진고(金珍鎬) |
단국대학교
중국학교수 맟 국제 교류 위원회회원 |
김운영(金澐泳) |
Silver Star Corporation
상무 이사 |
맹주억(孟柱億) |
한국중국어교욕학회회장 및 세계중국어교육학회 부회장 |
Chinoy, Sujan R.
齊 湛 |
전 중국(상해上海)주재
인도 총영사 |
Furuta, Shigemi (古田茂美) |
홍콩무역발전국 일본수석대표 |
Lee,
Jackson (李忠信) |
전 홍콩주재
영국총영사 |
Makita, Kunihiko (槙田邦彥) |
전 싱가포르주재
일본대사 |
Matsumoto, Morio (松本盛雄) |
전 홍콩주재 일본영사 경제사무부장 |
Miller, John Anthony (苗學禮) |
전
홍콩주WTO
상임 대표 |
Morrison, Alan (莫禮信) |
현 홍콩주재
영국부영사 |
Summers, Timothy (夏添恩) |
중국
중경重慶주재 영국총영사 |
Suri,
Nalin |
중국 베이징주재
인도대사 |
회원
중
중국최초
노벨상
수상자인
Chen Ning, Yang (楊振寧)교수,
홍콩특별행정구
교육부
장관
Arthur K. C. Li (李國章)교수의
가족원들
또한
본
언어원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

언어원
|